맨위로가기

민주당 (1995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5년 민주당은 1991년 민주당과 새정치개혁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었다. 1995년 지방 선거에서 승리했으나, 김대중의 정계 복귀와 탈당으로 새정치국민회의가 창당되면서 제1야당 지위를 잃었다. 이후 개혁신당과 통합하여 통합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했으나, 1996년 총선에서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1996년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하고 이기택을 총재로 선출했으나, 1997년 조순을 대통령 후보로 영입하고 신한국당과의 합당을 결정하여 한나라당으로 재창당되며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해산된 정당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1997년 해산된 정당 - 신진당
    신진당은 1994년 창당되어 자유민주당에 대항하며 국회의원 200명 이상을 보유했으나, 당내 갈등과 선거 부진으로 1997년 해산된 일본의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 원내정당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 원내정당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는 1995년 김대중을 총재로 창당되어 1996년 총선에서 제2당이 되었고, 1997년 대선에서 김대중을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후 2000년 새천년민주당으로 합당하였다.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 원내정당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 원내정당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는 1995년 김대중을 총재로 창당되어 1996년 총선에서 제2당이 되었고, 1997년 대선에서 김대중을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후 2000년 새천년민주당으로 합당하였다.
민주당 (1995년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약칭DP
국가대한민국
창립일1995년 12월 21일
해산일1997년 11월 21일
합병 대상민주당
신정치개혁당
합병 대상한나라당
상징색초록색
민주당 로고
이념 및 정책
이념자유주의 (대한민국 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정치적 위치중도 ~ 중도좌파
조직 및 인물
대표이기택
의회
국회의원 (1995년)15석 / 299석

2. 역사

1995년 민주당은 민주당과 새정치개혁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었다. 원래 민주당은 1995년 지방 선거에서 승리했다.[1]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당 공동 대표였던 김대중 (DJ)이 정계에 공식 복귀하면서 갈등이 촉발되었다.[2] 김대중을 포함한 당내 친 DJ 계열은 탈당하여 새정치국민회의 (NCNP)라는 신당을 창당했다.[3] 남은 민주당은 새정치개혁당이라는 소수 정당과 합당하여 12월 21일에 통합민주당을 새롭게 창당했다.

이 당은 소수의 비례대표와 함께 단순 다수 대표제 하에서 야권 표 분산으로 인해 1996년 선거에서 큰 패배를 겪었다.[4] 1996년 6월 4일, 선거 패배 직후 당은 지도부 선거를 실시하여 전 민주당 대표였던 이택기를 의장으로 선출하고, 당명에서 '통합'을 삭제했다.[5] 일부 국회의원들이 여당인 신한국당 (NKP)에 합류하면서 당은 계속 쇠퇴했다.

1997년 9월 11일 지도부 선거에서 조순이 새로운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다가오는 대통령 선거의 후보가 되었다.[6] 지도부 선거 직전 조순은 여론 조사에서 대통령 선호도 3위를 기록했다.[7] 그러나 그의 인기는 계속 하락하여 4.7%까지 떨어졌고, 그의 선거 운동을 거의 관리할 수 없게 만들었다.[8] 새정치국민회의(NCNP)와 자유민주연합 (ULD)이라는 두 주요 야당이 NCNP의 김대중을 단일 후보로 내기로 합의한 후, 여당인 신한국당이회창은 낮은 지지율로 고전하고 있었다. 신한국당과 민주당은 서로 합당하여 이회창을 단일 후보로 내기로 합의했다.[9] 두 정당은 통합되어 한나라당으로 재창당되었지만, 노무현을 포함한 반대파들은 이에 반대하며 NCNP에 합류했다.

2. 1. 창당 배경 (1987년 ~ 1995년)

1987년 5월 1일 통일민주당이 창당되었다. 같은 해 11월 12일, 통일민주당 탈당파들은 평화민주당을 창당하고 김대중을 총재 및 대통령선거 후보로 추대하였다. 1991년 4월 15일 평화민주당은 이우정, 신계륜, 장영달 등의 재야운동가를 영입하여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1991년 9월 16일, 3당 합당으로 거대 여당이 탄생한 이후, 이에 반대한 통일민주당 잔류파인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통합민주당)을 창당하였다.

1995년 민주당은 민주당과 새정치개혁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었다. 원래 민주당은 1995년 지방 선거에서 승리했다.[1]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당 공동 대표였던 김대중 (DJ)이 정계에 공식 복귀하면서 갈등이 촉발되었다.[2] 1995년 9월 5일 김대중 아태재단이사장의 주도로 민주당내의 상당수 인사들이 탈당하여 새정치국민회의가 창당되었고[3] 민주당은 제2야당으로 전락했다.

2. 2. 창당과 당명 변경 (1995년 ~ 1996년)

1995년 12월 21일 민주당 잔류 세력이 개혁신당과 통합해 '''통합민주당'''을 창당했다. 1995년 7월 18일 김대중이 정계 복귀를 선언한 후, 민주당 내 친김대중계(동교동계) 의원 53명이 탈당하여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면서, 민주당은 제1야당의 지위를 잃었다. 이후 민주당에 남은 이기택 등은 시민운동가와 재야 인사, 구 민중당 인사가 중심이 되어 결성된 개혁신당과 통합을 선언, 통합민주당을 발족했다.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된 제15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은 지역구 9석, 전국구 6석을 포함하여 총 15석을 얻는 데 그치며 제4당으로 전락하였다.[4] 이는 원내교섭단체 구성 요건(20석)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였다. 선거 후 일부 의원들이 탈당하면서, 제15대 국회 개원 시점(5월 30일)에는 12석으로 의석수가 더욱 감소했다.

1996년 6월 4일, 통합민주당은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하고, 당 기구를 집단 지도 체제에서 총재 중심의 단일 지도 체제로 전환하며, 이기택을 총재로 선출했다.[5][12][13]

2. 3. 신한국당과의 합당과 해산 (1997년)

1997년 9월 11일, 민주당은 조순서울특별시장을 대통령 후보로 영입하고 총재로 추대한다. 그러나 조순 총재의 지지율은 계속 하락하여 4.7%까지 떨어졌다.

1997년 11월, 조순 총재는 신한국당과의 합당을 결정했다. 이에 반발한 노무현, 김원기, 김정길 등 일부 당원들은 탈당하고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했다.

1997년 11월 24일, 민주당은 신한국당과 함께 한나라당으로 신설 합당하여 해산하였다.

3. 주요 지도부


  • '''공동 대표''' (1995년 12월 16일 ~ 1996년 6월 3일)
  • 이기택
  • 김원기
  • 장을병
  • '''총재''' (1996년 6월 ~ 1997년 11월)
  • 이기택 (1996년 6월 4일 ~ 1997년 8월 4일)
  • 조순 (1997년 8월 28일 ~ 11월 21일)

3. 1. 역대 총재

장을병총재1995년 12월 21일 ~ 1996년 6월 3일2이기택총재1996년 6월 4일 ~ 1997년 9월 10일3조순총재1997년 9월 11일 ~ 1997년 11월 20일



1995년 12월 16일부터 1996년 6월 3일까지 이기택, 김원기, 장을병이 공동 대표를 맡았다. 1996년 6월 4일부터 1997년 8월 4일까지 이기택이 총재를 맡았고, 1997년 8월 28일부터 11월 21일까지는 조순이 총재를 맡았다.

4. 역대 전당대회

4. 1. 제1차 민주당-개혁신당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 (1995년)

1995년 12월 5일 민주당-개혁신당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는 양당의 통합을 선언하고 민주당 이기택 고문을 상임고문에, 김원기 고문과 개혁신당 장을병 대표를 공동총재로 선출했다.

4. 2. 1996년 민주당 임시 전당대회

1996년 6월 4일, 통합민주당 전당대회는 당명을 통합민주당에서 민주당으로 변경하고 총재 중심의 단일지도체제로 당헌을 개정하였다. 이 전당대회에서 이기택이 총재로 선출되었다.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이기택1,14255.3%대표
2홍성우91344.2%
총투표수2,066


4. 3. 1997년 민주당 임시 전당대회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선출과 관련된 내용은 해당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4. 신한국당-민주당 합동 전당대회 (1997년)

1997년 11월 21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신한국당과 합당해 한나라당으로 통합할 것을 의결했다.

5. 주요 선거 결과

민주당은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207,695표를 득표하여 11.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역구에서는 9석, 전국구에서는 6석을 획득하여 총 15석을 차지, 4위를 기록하며 여당이 되었다. 당시 당 대표는 박일, 장을병이었다.

선거대표득표수득표율(%)의석순위상태
지역구비례대표합계
1996년2,207,69511.296154위여당


5. 1.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은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2,207,695표를 득표하여 11.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역구에서는 9석, 전국구에서는 6석을 획득하여 총 15석을 차지, 4위를 기록하며 여당이 되었다. 당시 당 대표는 박일, 장을병이었다.

선거대표득표수득표율(%)의석순위상태
지역구비례대표합계
1996년2,207,69511.296154위


참조

[1] 뉴스 http://www.busan.com[...] 1995-06-28
[2] 뉴스 https://newslibrary.[...] 1995-07-18
[3] 뉴스 https://newslibrary.[...] 1995-09-06
[4] 뉴스 http://imnews.imbc.c[...] 1996-04-12
[5] 뉴스 http://imnews.imbc.c[...] 1996-06-04
[6] 뉴스 http://imnews.imbc.c[...] 1997-09-11
[7] 뉴스 https://newslibrary.[...] 1997-08-31
[8] 뉴스 https://newslibrary.[...] 1997-10-27
[9] 뉴스 https://newslibrary.[...] 1997-11-10
[10] 뉴스 http://imnews.imbc.c[...] 1997-11-21
[11] 웹사이트 정당·정치자금 정보시스템(政党・政治資金情報システム) http://www.nec.go.kr[...] 한국중앙선거관리위원회
[12] 서적 대한민국국회60년사 대한민국국회사무처
[13] 서적 아시아동향연보 (1997년판) 아시아경제연구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